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태양계에 대한 용어, 태양

태양계에 대한 용어 태양계 용어는 비공식으로 여러 가지 부분으로 구분된다. 내 행성 간에는 4개의 암석 형태 행성과 소행성대가 포함이 된다. 소행성대 너머의 외행성에는 4개의 가스 형태 행성이 포함이 된다. 카이퍼 대 발견으로 태양계 규모는 해왕성 너머의 천체까지 미치게 되었다. 물리적 동역학적 관점에 태양계 주위를 도는 천체에서는 행성과 왜행성과 태양계소천체 등등 세 가지 종류로 분류가 된다. 행성은 구형 몸체를 이룰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질량을 가지고 있으면서 공전 궤도상 존재했던 자신보다 작은 모든 천체를 흡수 한 천체를 말한다. 이 정의에 따르면 태양계에는 8개의 행성이 있다. 명왕성은 궤도 근처 카이퍼대 물질을 빨아들여 커지지 못하며 위 정의를 만족하지 못한다. 왜행성은 구형 몸체를 이룰 수 ..

우주과학 2023. 5. 22. 20:48
태양계의 발견과 탐험, 구성, 모형

태양계의 발견과 탐험 아주 오랜 시간 동안 인류는 태양계의 존재 자체를 인지하지 못했다. 인류는 지구가 우주 중심에 있으며 움직이지 않으며 하늘에서 움직이는 다른 천체와 다른 존재로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인도의 천문학자인 아리아바타와 고대 그리스 철학자인 사모스의 아리스타르코스가 태양을 중심으로 우주론을 추측하기도 했지만 태양중심설을 최초 수학적으로 예측한 사람은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이다. 17세기 계승자 요하네스 케플러와 갈릴레오갈릴레이 그리고 아이작 뉴턴 등등이 물리학에 대한 이해로 인해 지구가 태양 주위를 움직이고 있으며 행성은 지구를 제어하는 힘과도 같은 힘으로 제어한다는 생각을 수용하였다. 최근 망원경 기술이 발달하고 무인의 우주선을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다른 행성의 산맥과 크레이터 ..

우주과학 2023. 5. 21. 19:27
우주의 일반 물질, 입자 표준모형, 강입자

우주의 일반 물질 우주의 질량 에너지의 나머지 5%는 일반물질이다. 일반물질에는 은하에서 관측할 수 있는 대다수 빛을 생성하는 항성과 성간과 은하 간 매체에 있는 성간 가스 그리고 행성 및 우리가 부딪치거나 만질 수 있는 일상생활 속 모든 물체가 포함이 된다. 솔직히 말하면 은하와 은하단 내부 보이는 별과 가스가 우주 질량 에너지 밀도에 기여하는 일반 물질의 10%를 차지하기 때문에 우주에 있는 일반 물질 대부분 보이지 않는다. 일반 물질은 보통 고체와 액체 그리고 기체 및 플라스마 네 개의 상태로 존재한다. 그러나 기술의 발전으로 보스 아인슈타인 응축 및 페르미온 응축과 같은 이전의 이론적인 다른 단계가 증명됐다. 일반 물질은 쿼크와 렙톤 두 유형의 기본 입자로 구성되는데, 양성자는 두 개의 위 쿼크와..

우주과학 2023. 5. 14. 20:23
우주의 모양, 구성, 암흑물질

우주의 모양 상대성이론에서는 우주의 모양이 시공간, 질량과 에너지에 따라 어떤 방식으로 휘며 구부러지는지를 설명했다. 우주의 위상수학과 기하학에서는 관찰 가능한 우주의 국소적 기하학과 대역역 기하학이 포함된다. 우주론자는 일명 공변 좌표라고 말하는 공간성 시공간의 조각으로 작업한다. 관찰할 수 있는 시공간의 단면은 우주 지평선을 구분하는 광추이다. 입자 지평선이라고도 말하는 우주론 지평선 은 우주 시대에 입자가 관측자에 도달할 수 있는 최대 거리를 말한다. 이 지평선은 우주의 관측 가능한 영역과 관측할 수 없는 영역 사이의 경계 모양을 나타낸다. 우주론적 지평선의 존재와 속성은 특정 우주론적 모형에 따른다. 우주 이론의 미래 진화 모양을 결정짓는 주요 변수는 우주 평균 물질의 밀도를 해당 밀도의 임계값으..

우주과학 2023. 5. 14. 14:12
양자역학 코펜하겐해석, 다세계해석, 관계양자역학

코펜하겐해석 양자역학에서 영향력을 미치는 해석중 하나인 코펜하겐해석은 주로 닐스보어와 베르너하이젠베르크에 기안한 양자역학 의미와 관련된 관점의 모음이다. 1920년대 양자역학의 발전으로 이어지게 만들었던 제일 오래된 해석중 하나이며 현재 대중적으로 교육되고 있는 해석으로 남아있다. 역사적으로 결정적인 해석에 대한 진술은 없지만 보어와 하이젠베르크의 주장 사이에 맞지 않는 부분이 있었다. 예를 들면 하이젠베르크는 관찰자와 관찰되는 계 사이 날카로운 구분을 강조했지만, 보어는 관찰 또는 측정의 고전적 행동을 부여하는 돌이킬 수 없는 또는 효과적으로 비가역적 과정에 의존하는 주관적 관찰자 또는 붕괴와 독립적 해석을 제공했다. 공통적인 특징에는 양자역학이 보른규칙을 적용하여 확률을 계산하는 본질적 비결정론적이라..

우주과학 2023. 5. 11. 09:41
블랙홀의 성질과 구조3(광자구, 작용권, 최내곽안정원궤도)

광자구 블랙홀의 두께 0의 구형태 경계면을 말하는 광자구는, 블랙홀에 붙들린 광자가 이 구의 접선 방향으로 움직인다. 무회전 블랙홀은 광자구 반경이 슈바르츠실트 반경의 1.5배에 달한다. 광자구의 궤도는 동역학적으로 불안정하고, 새로운 물질 입자가 블랙홀로 떨어지는 형태의 움직임에 의해 점진적으로 커진다. 이러한 결과로 광자구는 외부로 튕겨나가 블랙홀에게서 벗어나거나 와선 형태를 나타내며 안쪽으로 움직이거나 사건의 지평선으로 빨려 들어간다. 광자구의 빛은 블랙홀에게서 벗어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나 광자구의 안쪽을 지나는 빛은 블랙홀에게 붙잡힐 수밖에 없다. 외부에서 보이는 방출 빛은 광자구와 사건의 지평선 사이 물체에 의해서 방출이 된 것이 보이는 것이다. 광자구에 관한 개념은 원대칭 물체 밖의 중력장..

우주과학 2023. 5. 9. 22:30
블랙홀의 성질과 구조2(사건의지평선, 특이점)

사건의 지평선 사건의 지평선은 블랙홀이 지니는 큰 특징 중 하나이다. 사건의 지평선이란 물질 또는 빛이 블랙홀을 향해 그 중심부로 들어갈 수는 있지만 역으로 나올 수는 없는 시공간의 경계선을 의미한다. 모든 물질, 심지어 빛을 포함하여 사건의 지평선 안쪽에서는 절대로 바깥쪽으로 탈출이 불가능하다. 사건의 지평선이라고 불리는 이름에는 다음과 같은 의미가 있다. 블랙홀의 질정 부분 경계에 특별한 이벤트가 나타나게 되면 해당 정보는 외부 관찰자에게 도달할 수 없어 어떠한 이벤트가 벌어졌는지 실마리조차 알 수 없다는 것에 엄청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일반상대론에 따르면 질량은 시공간을 왜곡시켜 입자의 경로를 해당 질량의 방향으로 휘어지게 한다. 사건의 지평선에서는 해당 왜곡이 특히 심해지기에 블랙홀 바깥으로 향..

우주과학 2023. 5. 9. 16:57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이메일: timidguys@naver.com | 운영자 : 알려드림
제작 : 아로스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