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양계 외곽 태양계의 끝 지점에서 성간의 공간이 시작되는 경계가 명확하게 정의되지는 않았지만 그 이유가 태양계 경계의 두 종류의 힘인 태양풍과 태양 중력이 형성되어 있어서이다. 태양풍의 영향은 태양과 명왕성 간 거리의 다섯 배 정도의 거리이며 태양권 계면이 성간매질이 시작되는 곳으로 추측이 된다. 태양의 힐 구는 이보다는 몇 천배 더 먼 곳까지 이르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태양권 계면은 두 개의 별개의 영역으로 구분이 된다. 태양풍이 초속 400킬로 정도의 속력으로 우주를 여행하다가 성간매질 영역에 플라스마 흐름과 충돌하게 된다. 이 충돌이 말단 충격으로부터 발생되는데 말단 충격이 태양풍이 부는 방향으로 태양으로부터 80에서 100 천문단위와 반대방향으로는 태양에서 200천문 단위까지의 거리에 위치해 ..

소행성대 태양계 소천체로 분류되고 있는 소천체는 대다수 암석 또는 금속과도 같은 휘발성이 없는 광물로 이루어져 있다. 화성 및 목성의 궤도 사이 형성된 주 소행성대에는 거리가 태양으로부터 2.3-3.3 천문단위이다. 이는 태양계 초기 생성된 목성의 중력 작용으로 인해 뭉쳐지지 않으며 행성이 이루어지는데 실패한 것으로 여긴다. 소행성의 규모는 상당하다. 수백 킬로미터에서 인간의 눈으로 보이지 않는 정도의 크기까지 다양하다. 제일 큰 행성인 1 세레스는 이를 제외하고 전체 소행성 태양계의 소천체로 구분되고 있지만 4 베스타 또는 10 히기에이아 등이 유체정역학적 균형 상태에 존재하고 있음이 증명되면 왜행성으로서 다시 분류가 될 가능성이 있다. 지름이 약 200미터 이상인 천체의 수가 소행성대에는 수천 개 혹..

행성 간 매질 태양에는 빛이 함께 대전된 입자인 플라스마가 지속적 흐름인 태양풍을 생성한다. 이러한 입자의 흐름은 시속으로 150만 킬로미터의 속력으로 번져나간다. 희박한 태양권을 구성하는데 최소 100AU까지 퍼지게 된다. 이가 바로 행성 간 매질이다. 태양 표면에 발생되는 태양 플레어 또는 코로나 질량이 방출되어 지자기 폭풍이 태양권을 흐트러놓으며 우주에서 생성되는 기후 대부분을 만들게 된다. 이는 태양권 안에 제일 큰 구조밀인 태양이 자기 회전의 자기장으로 인해 행성 간 매질에서 발생하는 나선형 태양권의 전류 편이다. 지구 자기장이 태양풍의 지구 대기를 없애는 것을 막아 준다. 화성과 금성이 자기장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 태양풍이 대기 우주의 공간으로 조금씩 방출하게 한다. 지구자기장과 태양풍이 상호..

수성의 개념 태양에서 평균 5천8백만 킬로미터 떨어져 있는 수성은 태양계의 여러 행성들 중 가장 가까운 궤도를 돌고 있는 행성이다. 반지름의 길이는 약 2천4백 킬로미터이며 둘레길이는 4만 3천 킬로미터로 가장 소형인 행성이기도 하다. 88일간 공전 주기를 지니며 58일의 자전 주기를 돌고 있다. 수성의 핵은 전체 수성의 반지름의 70%인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주성분은 철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멘틀은 규산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바깥을 차지한다. 표면의 형태는 달과 비슷한 충돌구가 많으며 행성이 식은 후 수축할 때 형성된 거대 절벽이 존재하고 있다. 칼륨 또는 나트륨 등으로 구성된 대기가 있지만 기압이 지구의 1조 분의 1로써 아주 희박한 상태이다. 또 약한 자기장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행성..

태양계에 대한 용어 태양계 용어는 비공식으로 여러 가지 부분으로 구분된다. 내 행성 간에는 4개의 암석 형태 행성과 소행성대가 포함이 된다. 소행성대 너머의 외행성에는 4개의 가스 형태 행성이 포함이 된다. 카이퍼 대 발견으로 태양계 규모는 해왕성 너머의 천체까지 미치게 되었다. 물리적 동역학적 관점에 태양계 주위를 도는 천체에서는 행성과 왜행성과 태양계소천체 등등 세 가지 종류로 분류가 된다. 행성은 구형 몸체를 이룰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질량을 가지고 있으면서 공전 궤도상 존재했던 자신보다 작은 모든 천체를 흡수 한 천체를 말한다. 이 정의에 따르면 태양계에는 8개의 행성이 있다. 명왕성은 궤도 근처 카이퍼대 물질을 빨아들여 커지지 못하며 위 정의를 만족하지 못한다. 왜행성은 구형 몸체를 이룰 수 ..

태양계의 발견과 탐험 아주 오랜 시간 동안 인류는 태양계의 존재 자체를 인지하지 못했다. 인류는 지구가 우주 중심에 있으며 움직이지 않으며 하늘에서 움직이는 다른 천체와 다른 존재로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인도의 천문학자인 아리아바타와 고대 그리스 철학자인 사모스의 아리스타르코스가 태양을 중심으로 우주론을 추측하기도 했지만 태양중심설을 최초 수학적으로 예측한 사람은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이다. 17세기 계승자 요하네스 케플러와 갈릴레오갈릴레이 그리고 아이작 뉴턴 등등이 물리학에 대한 이해로 인해 지구가 태양 주위를 움직이고 있으며 행성은 지구를 제어하는 힘과도 같은 힘으로 제어한다는 생각을 수용하였다. 최근 망원경 기술이 발달하고 무인의 우주선을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다른 행성의 산맥과 크레이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