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행성 간 매질
태양에는 빛이 함께 대전된 입자인 플라스마가 지속적 흐름인 태양풍을 생성한다. 이러한 입자의 흐름은 시속으로 150만 킬로미터의 속력으로 번져나간다. 희박한 태양권을 구성하는데 최소 100AU까지 퍼지게 된다. 이가 바로 행성 간 매질이다. 태양 표면에 발생되는 태양 플레어 또는 코로나 질량이 방출되어 지자기 폭풍이 태양권을 흐트러놓으며 우주에서 생성되는 기후 대부분을 만들게 된다. 이는 태양권 안에 제일 큰 구조밀인 태양이 자기 회전의 자기장으로 인해 행성 간 매질에서 발생하는 나선형 태양권의 전류 편이다. 지구 자기장이 태양풍의 지구 대기를 없애는 것을 막아 준다. 화성과 금성이 자기장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 태양풍이 대기 우주의 공간으로 조금씩 방출하게 한다. 지구자기장과 태양풍이 상호 작용하여 대전된 입자가 지구 초고층 대기 상에 직각 형태로 흐르게 하는 것으로, 자기 극 근처에서 오로라를 형성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태양권은 태양계를 일부 보호하고 있으며 자기장이 있는 행성의 경우 행성 자기장 또한 행성들을 일부 보호하게 된다. 성간물질 안에 포함되어 있는 우주선의 밀도 또는 태양 자기장의 세기가 아주 긴 시간에 걸쳐져 변화하게 되며 이에 태양계 안 우주 방사선 수준 또한 함께 변한다. 그 수치는 알 수가 없다.
내행성계 지구형 행성
지구형 행성은 태양계 안에 4개로 구성된다. 암석으로 세밀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위성이 다소 작거나 고리 또한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형태의 행성을 구성하고 있는 광물 대부분이 녹는점이 높다. 한 예로 지각 또는 멘틀을 구성하고 있는 규산염과 핵을 구성하고 있는 니켈 또는 철 등 과 같은 금속이 있다. 지구 형태의 행성 중 지구와 화성 또는 금성 등 충돌 크레이터와 열곡과 같은 지질학적 구조의 표면이 형성된다. 지구형 행성의 뜻은 내행성이라는 의미와 혼용하면 안 된다. 내행성이 지구와 태양 사이에 있는 행성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지구형 행성 중 수성은 태양에서 제일 가까운 행성으로 그 크기는 가장 작다. 위성은 존재하지 않으며 많은 충돌 크레이터와 찌그러진 형태의 거대 절벽 등이 지질학적 특징으로 알려져 있다. 이 절벽은 태양계 역사 초창기 수성의 수축으로 인해 발생된 것으로 보인다. 수성의 대기 형태는 그 두께가 아주 얇은 편이다. 커다란 핵과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의 멘틀이 성분이 아직 확실히 밝혀지지 않는다. 수성 탐사는 미비하며 1950년 이래로 현재 수성 탐사선이 매리너 10호 또는 메신저뿐이다.
금성과 지구 그리고 화성
금성은 지구 질량의 80퍼센트 천체로서 가장 바깥쪽 부분에 대기가 존재하며 내부 지질 활동의 증거가 발견됨으로 규산염 멘틀 속 철질의 핵이 포함하고 있는 등 외관상 지구와 비슷한 행성이다. 하지만 금성은 지구의 대기보다 훨씬 건조한 형태이며 대기 밀도가 지구의 100배에 가깝다. 금성에는 자연 상태의 위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금성이 태양계 행성 간 제일 뜨거우며 표면 온도가 섭씨 400도 이상이라고 알려져 있다. 고온의 주요 원인은 온실 가스 때문이다. 금성 표면 온도가 플라스틱 안전모를 녹일 정도의 온도라고 한다. 금성 표면에 지질학적 활동이 지속하고 있다는 증거는 없지만 대기가 휩쓸려가는 것을 막는 자기장이 없다는 부분으로 금성의 대기가 화산 폭발로 분출되는 가스를 일정하게 공급받고 있는 것 같다. 지구 행성은 내행성 중 가장 질량이 큰 편이다. 현재 지질학적 활동이 발생되고 있는 유일 천체이며 우주상 생명체가 입증된 유일한 천체이다. 태양계 내 암석 행성 중 유일무이하게 바다가 있으며 지각판 이동이 발생하고 있다. 화성 행성은 수성보다는 그 크기가 거대하지만 지구 또는 금성보다는 질량이 아주 작다. 화성 대기 대다수가 이산화 탄소로 구성되어 얇은 대기가 있다. 화성 표면이 올림포스 산 등 거대 화산과 매리너 계곡과 같은 단층 계곡 등 가장 최근 지질학적 활동이 지속되는 여러 흔적이 발견되고 있다. 약 3천만에서 5천만 년 사이 화성의 조석으로 인해 위성인 포보스가 조각날 것으로 예측한다. 화성은 지구와 가장 비슷한 행성으로 생명의 존재에 대한 지속 탐사가 이어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발견되지 못했다.
'우주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양계 외곽, 오르트구름, 태양계의 끝 (0) | 2023.06.17 |
---|---|
성단의 종류, 구상성단, 산개성단, 성협 (0) | 2023.06.13 |
태양계 소행성대, 외행성계, 해왕성궤도 (0) | 2023.06.10 |
수성의 개념, 형상과 역사, 표면 지질학, 충돌분지와 충돌구 (1) | 2023.06.02 |
끈 이론의 개체, 종류, 의의 (0) | 2023.06.02 |
끈이론의 역사, 성질, 유한성과 양자중력 (0) | 2023.05.30 |
중력의 개념, 중력과 천문학, 중력파와 속도 (0) | 2023.05.29 |
오로라의 개념, 어원 및 종류, 분포 및 발광 (0) | 2023.05.27 |